상속2 상속, A is B, A behaves as B, 리스코프 치환 원칙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인간이 사물이나 개념들을 서로 연관 짓는 방식을 프로그래밍 언어로 그대로 표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코드의 가독성을 높인다. 여기서 자주 쓰이는 "연관 짓는 방식"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. 포함 관계 (A is B) 예제: 사람은 동물이다.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상속이라는 기능을 쓰면 포함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. 다음 프로그래밍 언어 "public class Human extends Animal"은 적법한 코드다. 사람은 동물이기 때문이다. 그러나 위 짤방에 나온 "public class Car extends Person"은 좋은 코드가 아니다. 개체 관계 (a is an instance of B) 예제: 박은빈은 사람이다.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클래스와 인스턴스 사이의 관계가 .. 2024. 1. 30. [C++] 표준 라이브러리 클래스 상속받기 (feat. Maybe 모나드 구현) 나도 몰랐던 사실인데, 표준 라이브러리 클래스를 상속받을 수 있다. 생각해 보면 당연하긴 하다. 표준 라이브러리 클래스도 결국엔 클래스일 테니까... 하지만 그렇게 하는 데는 애로사항이 조금 있을 수 있다. 내부 변수들이 private으로 선언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. 이 변수들은 상속받아도 접근할 수 없다. (사실 private이 아니어도 접근하기 어려울 것이다. 어차피 이름을 모르거든...) 하지만 방법은 있다. 이 글에서 C++17 표준 라이브러리 중 하나인 std::optional 클래스를 상속받이 maybe 모나드로 만들어 보자. 일단 std::optional는 값이 있을 수도 없고 없을 수도 있는 객체를 나타내는 클래스이다. 예를 들어 std::string을 int로 바꿔주는 to_inte.. 2022. 9. 27. 이전 1 다음